'미묘한 결을 읽어내고, 한 장소만의 ‘태’를 브랜드로 번역하여 그 존재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고자 노력한다'.

땅의 결, 빛의 방향, 머무는 사람의 숨결 속에는 그 공간만의 태(態)가 숨어있다. 이에 공간에는 언제나 그 자체로 답이 있다. 크리트 이용수, 박은아 소장의 디자인은 형태를 꾸미는 기술이 아닌 존재를 이해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건축, 인테리어, 그리고 브랜딩을 하나의 유기적 프로세스로 엮어내는 방식은 크리트의 공간디자인을 종합 예술로 승화시킨다. 구조가 아닌 ‘이야기’이자, 장식이 아닌 ‘존재의 연장선’인 크리트의 디자인은 한 사람의 삶, 한 장소의 태도를 시각적 언어로 번역한다. 브랜드와 공간이 하나의 결을 이루는 지점, 그곳에서 크리트의 디자인은 시작된다.

 

©이수연

Q. 크리트에 대한 소개 부탁한다.

크리트는 건축, 인테리어, 공간브랜딩, 굿즈 등 공간 이용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디자인하는 토탈디자인 그룹으로 이용수, 박은아 공동 대표로 운영되고 있다. 조직 체계로는 3명의 디렉터로 구성되어 이용수 디렉터는 전체 기획 및 디자인을 총괄하고, 박은아 디렉터는 인테리어 및 제품디자인, 공간운영 솔루션, 코디네이팅에 집중하며, 정두영 디렉터가 건축을 총괄하고 있다. 크리트는 공간마다 고유하게 존재하는 답, 즉 '태'(態, Form of Being)를 찾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콘셉트적인 개념을 넘어 사용자의 경험을 그 공간에 담아낼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와 오랜 시간 대화를 나누고, 오래 바라보며 애정을 가지고 공간이 해야 할 역할을 탐색한다.

 

 

©여인우

 

Q. 공간 디자인과 브랜드를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는데, 이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소개해달라.

공간은 결국 그 안에서 소비되는 콘텐츠에 따라 최종적인 형태가 완성된다. 크리트의 프로젝트 중 ‘DESCENT R&D CENTER'와 ‘EDITIONS HOTEL MOKPO'를 예로 들 수 있다.
‘DESCENT R&D CENTER'는 기업이 추구하는 내용 외에 지역과 소통하는 방식과 콘텐츠를 제안했고, 이를 위해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역을 탐구하며 기업을 설득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그 결과 보안이 철저하게 강조되던 R&D 센터의 외부공간이 오픈되고, 일반인들이 센터의 트랙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내부 기업 홍보시설과 근린시설 배치가 기존 보안시설의 개념을 완전히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가 되었다.
‘EDITIONS HOTEL MOKPO’는 건축주에게 호텔의 개념, 운영, 시스템, 그리고 지역 소통의 중요성에 관한 협의 과정을 진행했다. 이후 처음 건축주의 생각과는 전혀 다른 철학과 콘텐츠를 담게 되었고, 8만 원의 객단가를 목표로 했던 호텔은 30만 원대의 호텔로 거듭나게 되었다.

 

 

©여인우

 

Q. FF&E(Furniture, Fixtures& Equipment)사업에 관한 생각과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하다.

‘건축’과 ‘인테리어’의 영역을 디자인하는 동안에는 공간을 채우는 요소들의 수많은 스케치를 진행한다. 조명, 가구, 플랜트, 향, 온도 등 수많은 아이템이 구성되는데 비슷한 성격의 두 프로젝트에 이런 요소들을 똑같이 적용한다면, 결국 같은 공간을 복제한 셈이 된다. 하지만 이 요소들이 각각의 브랜드를 가진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닌다면 다양한 브랜드의 아이템들을 적절히 배치한 것이다. 이에 크리트는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한 각각의 브랜드 스페이스(Brand Space)를 만드는 접근 방식의 FF&E를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 이 요소들의 개별적 브랜드화를 계획 중이다.

 

 

이어지는 이야기는 월간데코 12월호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