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PE HEYKOOPCREATIVE THINKING CAN LEAD TO NEW DISCOVERIES THAT WILL GIVE SHAPE TO OUR FUTURE, BOTH PHYSICALLY AND MENTALLY1984년 네덜란드에서 출생한 Pepe Heykoop는 톡톡 튀는 감각, 독특한 발상과 표현력을 기반으로 하는 젊은 디자이너다. 디자인 아카...
The book Ecological Urbanism was embraced by Latin Americans because practitioners in the region are genuinely interested in the type of approach it offers, particularly as the region faces unpreceden...
디자이너 정승영 - 공간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다. CA PLAN의 정승영 대표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Reddot, IF, IDEA)를 여러 차례 수상한 젊은 실력파 디자이너다. 그가 디자인 총괄로 있는 CA PLAN은 매 작업 세상에 없던 디자인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고집으로 독창적인 포트폴리오를 쌓아가고 있다. 동양화를 전공한 정승영 대표는...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어반플레이는 자체 제작 미디어를 통해 동네를 경험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도시콘텐츠 전문 기업이다. 이들은 지역성을 지닌 로컬콘텐츠를 활용해 서적, 식료품, 공간, 웹페이지, 이벤트 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자체 온-오프라인 서비스 아는동네를 통해 잠재 가치를 지닌 동네 콘텐츠를 육성, 실질적 경험이 가능한 결과물로 ...
JESPER STÅHL런던 Royal College of Art에서 디자인 석사 과정을 마친 스웨덴 프리랜서 디자이너 Jesper Ståhl은 주방용품부터 가구, 조명, 전자제품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있다. 1969년 스웨덴에서 태어난 그는 전문성과 다수의 경험을 바탕으로 1997년 그의 이름을 내건 Jasper Desig...
[데코저널 칼럼 - 정희정] 도시의 얼굴, 간판 간판은 도시의 얼굴이다. 세계 어느 곳을 가더라도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거리의 간판과 사인이다. 비록 그 형태가 상업적이라 하더라도 간판과 광고물은 보는 사람에게 정서적 영향을 준다는 면에서 공공성을 띄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간판을 제작하는 업계나 광고주는 디자인에...
대한민국 공공 디자인 1호 박사. 정희정 교수를 만나다. 청운대학교 창의융합대학 교수이며 디자인학박사인 정희정 교수는 (사)한국공공디자인학회 부회장을 포함한 여러 디자인 단체의 임원으로 활동 중이다. 안전행정부와 국토부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중앙부처, 철도공사, 도로공사, 행정중심도시건설청, 새만금개발청,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건축 및 디자인 심의위원으로...
Analogia Project는 디자이너 Andrea Mancuso와 건축가 Emilia Serra가 결성한 디자인 스튜디오로 최근 제품 디자인과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탈리아 학위 취득 후, 2010년 런던의 Royal College of Art에서 만난 이들은 창의력과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협업을 시작했다. 건축가이자...
Design: 디자인 아이에스엠 Web: www.dism21.comContact: 010-7156-8448 디자인 아이에스엠 은 디자인 스토리와 공간 연출을 다루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다. 빠르고 화려한 디자인으로 보기에만 좋은 공간이 아닌, 또 다른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는 공간을 기획하고 있다. 디자인 아이에스엠의 이용완 대표 디자이너는 빠...
[데코저널 칼럼 - 노태린] 병원 디자인은 왜 다른 공간 디자인과 차별화되어야 하는가? 최근까지 병원을 여느 상업 공간 못지않게 꾸밀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특히 성형외과나 치과는 세련미의 극치를 내세우는 게 중요했다. 클라이언트와 논의할 때도 화려한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면서 평당 단...
DESIGN: Designband YoapHOMEPAGE: www.yoap.krCONTACT: 070-7558-2524FAX: 02-6910-0315E-MAIL: dbyoap@yoap.kr디자인밴드요앞(Designband Yoap)은 지난 2013년 설립된 젊은 건축사 사무소로, 건축적 상상을 기반으로이를 실현, 건축 작업을 확장해나가기를 꿈꾼다. 이들이 ...
DESIGN: DesignAidHOMEPAGE: design-aid.co.krCONTACT: 070-4234-5545FAX: 031-924-5548디자인에이드는 지난 2010년 일하는 사람들이라는 프로젝트팀으로 시작해 기획, 영업, 운영, 디자인, 시공감리에 중심을 두고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 그룹이다. 디자인에이드가 디자인을 하며 가장 중시하는 것은 사람이...
DESIGN: 공인테리어스튜디오WEBSITE: www.gong-studio.comADDRESS: 대구시 달서구 장기로 258 3FE-MAIL: gong-is@naver.comINSTAGRAM: @gongstudioCONTACT: 010-7444-5462장인 공(工)을 뜻하는 공인테리어스튜디오는 이름과 같이 장인정신을 모티브로 시공, 설계, 디자인, 컨설팅 ...
평생 동안 공간 디자이너들을 가르쳐온 김문덕 교수.그가 바라본 한국 실내 디자인계의 흐름과 주목할만한 신예 디자이너들 창의적이고 열정적이며 다소 특이하고 감수성이 예민해 괴짜라고 보여지기도 하지만, 평범한 사람들은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공간과 분위기를 연출하며 예술가와 기술자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들. 우리는 이들을 공간 디자이너라 부른다. 그렇다면, 그런...
프랑스 출신의 Ionna Vautrin은 1979년 출생으로 최근 유럽 디자인 업계에 큰 획을 긋고 있는 젊고 감각적인 여성 디자이너다. 그녀는 새롭게 떠오르는 전도 유망한 신진 디자이너로 창조적인 제품들을 선보이며, 예술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Ionna Vautrin은 2002년, 낭트 아틀랑티크(IElecle de NantesAtlantiqu...
DESIGN: OHHH STUDIOINSTAGRAM: @ohhhstudioCONTACT: 055-265-0404MAIL: ohhhstudio@naver.com젊은 디자이너들이 모인 OHHH STUDIO(오 스튜디오)는 지금 순간에 머무르지 않고 내 일에 도전하는 에너지 가득한 디자인 스튜디오다. 건축주와 방문객의 니즈를 바탕으 로 그들의 발랄한 아이덴티티를...
디자인이란 어떻게 멈추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 디자이너 나장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홍익대학교에서 건축, 실내설계를 전공했으며, 그 후 약 20여 년간 다양한 상업공간을 설계해왔다. 디초콜릿이앤티에프의 대표를 맡아 엔터테인먼트 및 FB 경영에도 참여했다. 디초콜릿커피 론칭, 카페베네와 뉴욕 타임스퀘어 카페베네, 뉴욕 브로드웨이 BBQ,, 베이징 798가베...
세계가 주목 하는 디자이너 Matteo Zorzenoni는 1978년 이탈리아 베네토주 Treviso에서 태어났다. Art Institute에 다니며 미술과 디자인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2001년에는 산업 디자인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베니스 Iuav 대학과 협력해 Marc Sadler, Riccardo Blumer, Denis Santachiara...
[데코저널 칼럼 - 정희정] 색채디자인 - 도시의 색채위계질서 유럽의 도시들은 드라마틱한 표정을 연출한다. 건축물에서도 차분한 느낌을 받게 되는데, 이는 먼저 건물의 외관 디자인이 색상이나 형태면에서 시대적 전통과의 통일감으로부터 오는 아름다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심에 위치한 상가나 주택단지 별로 건물...
2006년, 클라라델 포틸로(Clara del Porilo)와 알렉스 셀마(Alex Selma)가 함께 설립한 Yonoh Studio는 호기심과 독창성을 기반으로 그래픽 디자인과 가구, 조명 등 인테리어 전반에 걸친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 전문 스튜디오다. 스페인에서 작업을 시작한 이들은 신선한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발휘하며, 심플하면서도 기능적인 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