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디자인 - 위아카이 노태린 대표
위아카이의 노태린 대표와 인터뷰 도중 그녀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전화가 왔다. 그녀의 짧은 통화를 우연찮게 엿듣게 되면서, 그녀가 공간 디자인에 있어 치밀하고 섬세하며 단호하다는 것을 느꼈다. 노태린 대표와 위아카이는 분야를 가리지 않는 여러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것은 그들의 병원 인테리어 프로젝트들이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공간으로써의 병원에도 디자인 요소를 부각시키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노태린 대표 역시 공간 디자인을 처음 시작하면서 공간과 미(美)를 동의어처럼 여긴 적이 있었다. 그러나 그녀가 그토록 매달렸던 ‘공간은 아름다워야 한다.’는 생각을 바꾼것은 병원 인테리어였다. 십수 년 전 그녀가 처음으로 종합병원 내 작은 공간의 리모델링 작업을 진행했을 때, 그녀는 공간의 우선순위는 아름다움이 아닌 ‘사용자(사람)의 편의’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지금도 그녀가 설계한 수많은 의료공간에서 환자들은 아프고, 치유되고, 죽고, 살아나고 있다. 그녀가 매번 병원 인테리어에 열정을 쏟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이들, 사람 때문이다.
Q. 위아카이 We are KAI의 의미를 묻지 않을 수 없겠다.
A. 여쭤보는 분들이 많다. 이전에 일했던 사무실 Korea Architecture Interiors의 이름을 너무 길게 풀어쓰기보다 줄여서 붙였다. 거기에 그냥 KAI라고만 하자니 워낙 겹치는 기관도 많고, 흐름에 맞지 않는 것 같아, 우리는 카이다 라는 뜻으로 We Are를 붙였다. 막상 들어보면 단순하고 재미는 없다.(웃음)
Q. 종합병원 등 의료공간을 주로 작업하는데, 신경 쓰는 부분이 있다면?
A. 전에는 주거공간, 교육시설 등 비포 애프터가 확실한 작업을 주로 했었다. 그런데 병원 인테리어 디자인은 눈에 띄는 부분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디자인적 요소들이 더 많다. 나는 종종 병원 작업은 전과 후의 확연한 차이보다 작업을 해나가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하곤 한다. 그 말은, 병원 인테리어 작업을 하면서 그 중간 과정, 어떤 공간을 만들어 나갈지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없으면 제대로 된 병원 인테리어 디자인이 나올 수 없다는 뜻이다.
Q. 과정이라 함은?
A. 특히 응급실의 경우에는 심하게 말해서 공간 안의 동선 때문에 사람이 죽고 사는 문제가 결정되기도 한다. 의료공간 디자인은 그 공간 내에서 벌어지는 동선에 대한 맥락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 또 응급실, 치과, 외과, 소아과, 이비인후과 등 각 과마다 필요로 하는 공간, 가구가 다르다. 때문에 작업에 착수하기 전에 철저히 연구하고, 환자, 의사, 간호사 및 보이지 않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스태프들의 동선까지도 고려하는 등 여러 사용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까지가 바로 ‘과정’이라는 의미다. 나는 이를 위해 작업 전 휠체어에 앉은 환자가 되어보거나, 보호자의 입장이 되어보는 등 철저하게 사용자의 시선에서 공간을 체험해보려 노력하기도 한다. 환자의 눈높이로 보고 보호자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면 병원이라는 공간의 본질은 치유라는게 새삼 확인된다.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공간일수록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Q. 의료 공간 디자인이라는 작업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낄 것 같다.
A. 맞다. 애증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결국 허리 디스크가 목으로 올라왔다.(웃음) 앞서 말한 듯 환자들은 병원에서 고통스러운 수술을 받거나 치료되기도 하고, 안타깝지만 죽기도 한다. 그리고 환자들뿐만 아니라, 대형 종합병원의 경우 의사, 간호사 외에도 약 50개의 직업이 존재한다고 하니 그들의 개별적인 니즈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의료 공간은 모든 이들이 치료를 목적으로 생활하는 공간이므로, 환자 및 의료 행위자들의 애로사항까지 중요하게 받아들여 무거운 책임감으로 매 프로젝트에 임하고 있다.
Q. 의료공간 디자인이 일반 상업 공간 작업과 다른 점(어려운 점)은?
A.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다. 가령, 병원 리모델링의 경우에는 입원환자들 및 상주하는 스태프들이 있다 보니, 일반적인 상업공간처럼 공간을 싹 비우고 작업에만 전념할 수가 없다. 때문에 적극적인 리모델링 작업의 경우, 민원이 들어올 때도 있다. 이럴 땐 환자분들에게 최대한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조심히 작업하려고 한다. 그 외에도, ‘디자이너’로서의 철학과 컨셉, 욕심보다 사용자(사람)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 공간이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 중요하다는 점이 있겠다. 의료 공간 디자인 작업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Q. 앞으로의 계획은?
A. 의료 공간 디자인이 어려운 작업이지만, 큰 애정을 가지고 있다. 또 나는 같은 길을 걸어가려는 후배들에게도 관심이 많다. 사실, 원래 하고싶던 일은 교육 쪽이었다. 그리고 병원 인테리어를 하면서 수차례 고생도 해보고 노하우를 쌓았다. 그래서 이 일에 열정을 가지고 뛰어드는 후배들을 위해 체계화된, 정량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주고 싶다. 이것은 나뿐만 아니라 여러 디자이너분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차주헌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댓글 정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