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NTE Goods And Bads

 

Ⓒ Simon Legald

 

수직(垂直, Perpendicularity)은 두 선이 만나는 각도가 직각(90도)일 때의 모든 경우다. '두 직선이 직교한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실 끝에 매단 구슬을 서로 부딪히는 실험을 했을 때, 이 실을 직선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두 직선이 수직을 이루는 3가지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두 직선이 서로 끝에서 만나는 경우, 한 직선의 끝에서 만나는 경우, 서로 교차하는 경우다. 우리는 수직을 떠올리면 보통 '세로' 축을,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서 위로 그어진 선을 떠올린다.

Ⓒ Artek

 

Ⓒ Favaretto&Partners

 

Ⓒ Design By Them

 

Ⓒ Samuel Accoceberry

상승(相承)은 '낮은 데서 위로 올라감'을 뜻한다. 가치나 정도가 증가하거나 높아질 때 상향, 향상 등을 동의어로 사용하고, 넓게는 호전의 의미로도 쓴다. 상승 작용(Synergism)은 두 가지 이상의 기운이 서로 계승(繼承)하는 것이다. 사전적 의미로는 종속변인에 대해 독립적으로 취해진 각 변인의 개별적 기여도보다 더 큰 효과를 일으키는 두 실험변인의 상호 작용이다. 쉽게 말해 전체적인 결과나 효과에 기여하는 모든 합이 각각의 경우에 비해 더 많은 결과나 생산성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이를 시너지효과(synergy effect)라 칭한다.

Ⓒ Montana furniture

 

Ⓒ Montana furniture

 

카스트(Caste)는 포르투갈어 카스타(Casta)에서 비롯된 수직적 신분 계급이다. 세계 각지에서 오랜
시간 고착화된 신분 질서 제도를 칭하는 학술적 일반명사다. 인도에서는 아직까지 바르나(Varna, 색깔)
와 자티(Jati, 출생)라는 개념이 포함된 카스트 제도가 남아있다. 바르나는 색깔, 정확히는 피부의 색깔을
말한다. 자티는 전통적으로 내려와 정착된 한 가문의 직업과 그 신분을 뜻한다. 인도 사람들은 개인이
속한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카스트에 저마다 속해 있다. 이름만 봐도 어느 카스트인지 구별이 가능하다.

Ⓒ Dowel Jones

'바르나(색깔)'는 피부색으로 계급을 매기는 제도다. 알려진 바로 바르나는 평균적으로 키가 더 크고 흰 피부를 가졌다. 이목구비가 페르시아인에 가까운 아리아인은 브라만, 크샤트리아 등의 고위 카스트인데 반해서, 바이샤는 드라비다인, 수드라는 문다인처럼 비교적 단신에 검거나 갈색 피부로 이목구비가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고 전해진다. 현재 카스트 제도는 인권 침해와 사회적 불평등을 유발한다며 법적으로 금지되었지만, 문화적으로 아직 인도 사회 전반에 남아있다.

Ⓒ Note Design Studio

 

Ⓒ Doshi Levien

Ⓒ Fritz Hansen

 

Ⓒ Artek

 

Ⓒ Nils Holger Moormann

 

Ⓒ Gibson Karlo Design Studio

 

위 아래를 연결하는 수단은 수직 이동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사다리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것이 계단이다. 아주 작은 규모의 건물을 제외하고는 편리를 위해 승강기를 설치한 경우가 많지만,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비상계단을 따로 설치하는 등 어떤 경우에도 계단이 없는 건물은 없다. 서바이벌 예능이나 가요 프로그램에서는 순위 변동의 오르내림을 셀 때에도 '계단'을 사용한다. '두 계단 상승하여 1위를 차지했다' 등 순위 변동을 나타낼 때 쓴다.

Ⓒ Design By Them

 

Ⓒ Matteo Thun

 

흔히 접하는 교회 십자가는 가로보다 세로 축이 더 길다. 두 직선이 만나는 접점을 기준으로 위보다
아래쪽이 더 긴 십자가를 '라틴 십자가'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개신교 교회에서는 대개 정형화된 '†'자
십자가를 쓴다. 서방교회식 십자성호는 10세기 이후 시작됐으며, 엄지로 이마, 입술, 가슴의 왼쪽, 가슴의 오른쪽순으로 십자표시를 긋는 관습이다. 성호의 유례는 미사, 감사성찬례 중 사제가 복음서를 읽기 전 사제와 신자들이 하는 행동에 남아 있다. 정교회의 경우 오른쪽 가슴에서 왼쪽 가슴으로, 순서가 다르다.
 

Ⓒ Alki Landa

 

Ⓒ Dowel Jones

성호는 모든 기도와 전례의 시작이자 끝이며, 어느 기도에서나 사용된다. 그리스도교에서 성호를 긋는 의식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긴다. 십자성호에는 악을 쫓아내고, 멀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힘이 깃들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의식은 2세기경부터 시작되었으며, 당시에는 신자들이 서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호를 그었다. 이외에도 카톨릭 신자들은 중요한 일을 앞두고 있을 때나 마음에 평안이 필요할 때 그리고 기도할 때 성호를 긋는다.

 

절대 비(比)로 마음의 평화를 가져오는 수직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