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아파트는 비내력 가벽이 대부분이라 사용자가 다양하고 가변적으로 레이아웃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대주에 따라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컨디션이었다. 현관에서부터 복도까지의 바닥은 그레이 타일로 마감했다. 
 
Tip. 공간이 주는 컨디션을 바탕으로 과감한 벽 선의 절개와 확장, 구성을 클라이언트와의 수차례 논의한 끝에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구조를 갖출 수 있었다. 모노톤 베이스와 오브제를 바탕으로 현관 및 복도 공간을 가변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현관에서부터 유기적으로 흐르는 복도를 지나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주방과 거실은 차분한 그레이타일이 우드 소재의 바닥으로 이어진다.
 
 
 
▲ 거실 공간은 내추럴한 우드 바닥재와 가구가 조경들과 어우러져 부드럽고 따뜻한 분위기로 통일감이 느껴진다. 거실 창 부근에는 일부 포디움을 통해 바닥 레벨과 단 차이를 만드는 등 다양한 조경 속에서 반려견까지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고안했다.
 
 
 
▲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클라이언트가 오랫동안 꿈꿔온 개방감 있는 주방과 프라이빗한 부부 욕실이었으며, 클라이언트의 니즈가 프로젝트의 중심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주방은 전반적인 톤의 흐름이 엇나가지 않도록 고려했다. 천정의 우드 루버는 직선의 긴 축으로 이어지며 도드라지는 형태감을 연출한다.
 
Tip. 독특한 텍스쳐를 지녔지만 과하지 않은 도트의 테라조 상판으로 마감해 차분한 석재의 물성과 텍스쳐의 표현을 살렸다. 아이레벨에서 트이는 개방감과 공간의 톤을 이어나가기 위해 상부 장을 없애고 웜톤의 우드 소재 루버로 천정을 마감했다. 매입등을 점등하면 전구의 따뜻한 색온도와 우드의 컬러가 만나 주방을 더욱 따스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다.
 
▲안방과 아내의 드레스룸 사이를 잇는 욕실 공간은 클라이언트가 중요하게 생각하던 두 번째 공간으로, 건 습식을 아우를 수 있도록 구성했다.
 
Tip. 기존 복도 형태의 좁은 파우더 공간과 뒤편에 있던 작은 욕실을 과감하게 확장. 더욱 다양한 공간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했다. 넓은 공간은 더욱 다양한 소재들을 매치해 표현하기 충분한 욕실이 되었다. 주방 천장에서도 볼 수 있는 루버의 형태와 톤 등의 흐름이 욕실의 테라조 상판 등으로 이어진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