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으로 사용자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디자인. 디자인연구소 마음 최형곤
 
디자이너들과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인터뷰 당시의 모습으로 그들을 섣불리 판단하지 않으려한다. 복잡하고 변덕스럽고 예민한 디자이너들도 만나봤고, 그의 디자인 철학과 상반되는 작업을 보여주는 이들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은 조금 달랐다. 디자인연구소 마음의 최형곤 대표는 많은 말들로 그의 작업을 수식하거나 디자인 철학을 설명하지 않는다. 꾸밈없고 솔직한 그는 그의 디자인 철학과 정확히 일치하는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디자인연구소 마음이 그동안 진행해온 작업은 최형곤 대표의 언어만큼이나 담백하고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ACE Station)
 
(ACE Station)
 
Q. 사명인 ‘디자인연구소 마음’에 대해 설명해달라.
 
A. ‘XX 디자인 스튜디오’, ‘XX 건축사사무소’처럼 막연하고 딱딱한 느낌 보다는, 우리의 스텝들, 클라이언트나 협력업체 모두와 함께 공간 디자인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하는 느낌의 회사가 되고 싶었다. ‘마음’이라는 이름은 ‘디자인을 통해 고객의 마음까지 감동을 줄 수 있는 회사’가 되고자 했던 평소 생각도 드러낼 수 있을 것 같아서 결정하게 됐다.
 
Q. 디자인연구소 마음은 어떤 디자인을 추구하는지?
 
A. 우리의 디자인은 소위 ‘튄다’던가 ‘감각적’이지는 않다. 우리는 ‘자연이야말로 가장 훌륭하고 완벽한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도 ‘자연스럽다’는 단어를 좋아하는데, 디자인 역시 그런 스타일을 추구한다. 공간 디자인의 베이스는 인위적이지 않은 무채색 컬러로 통일하고, 포인트가 있다면 자연스러운 우드와 식물 등으로 정리하는 데, 그런게 다른 분들의 작업과 차이점이라면 차이점이랄 것 같다. 다소 심심할 수도 있지만 최대한 공간을 비우려고 하면서 인위적, 작위적이지 않은 디자인. 그러나 마지막에 공간에 맞는 매개체나 사용자가 들어섰을 때 자연스럽게 완성되는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양평향리주택)
 
(햇살가득의원)
 
Q. 주거, 상업, 의료, 사무공간 등. 다양한 성격의 프로젝트들이 균형잡힌 포트폴리오를 보여주고 있다.
 
A. 요즘에는 특정한 분야만 전문적으로 디자인하는 회사들도 많은데, 우리는 그렇지 않다. 지구상의 모든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매 프로젝트에 접근하고 있으며, 다양한 공간 작업을 접할 수 있다는 것도 우리의 일이 가진 매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Q. 각 프로젝트마다 중점을 두는 부분은?
 
A. 기본에 충실하는 것. 주거공간은 거주자가 살기 편해야 하고, 상업공간은 장사가 잘 되어야 하고, 의료공간은 환자와 의사들이 진료하기 편한 쾌적한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 사무공간은 역시 업무 효율이 좋은 것 등 각 공간의 기본에 충실하려 한다. 그리고 모든 프로젝트를 작업하면서 가장 중요한 공통적인 부분은 클라이언트와의 소통이다. 어느 디자이너든, 어떤 성격의 프로젝트든 마찬가지겠지만 클라언트와 소통이 원활하면 공간 작업이 대체로 잘나온다.
 
(2010 서울디자인한마당)
 
(타르틴베이커리)
 
Q. 특별히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A. 하나 하나 최선을 다해서 작업하긴 했지만, 2010년 잠실 종합경기장에서 진행했던 ‘서울디자인한마당’ 전시공간 프로젝트가 기억에 많이 남는다. 김개천 교수님께서 디자인 큐레이터셨고, 우리가 실시와 시공을 맡았는데, 짧은 시공기간에 당시 가르치던 한세대학교 학생들이 많이 도와줬다. 덕분에 무사히 좋은 작품이 나왔고, 반응도 좋아서 감사장까지 받았었다.
 
Q. TARTINE BAKERY 프로젝트는 SNS상에서 상당한 이슈를 만들었다.
 
A. TARTINE BAKERY는 요즘 핫한 홍대의 RYSE호텔을 디자인했던 ‘intg(인테그)’ 와 협업으로 진행했었다. 10미터가 넘는 높은 천장을 가진 공간에 베이커리의 주인공인 ‘빵’과 매칭이 잘 되도록 나무 소재를 많이 활용했다. 그 외에도 음식이 가장 맛있어 보일 수 있도록 조명의 조도에 특별히 신경 썼다. TARTINE BAKERY의 디자인도 (그동안의 작업처럼) 바닥과 벽체를 목재로 통일하고 둥근 한지 팬던트로 마감한 것이 거의 대부분인, 단순하고 자연스러운 디자인이다. 여기에는 디자인적 의도도 담겨있었지만, 당시에는 스케쥴이 타이트해서 철야작업도 했는데 납기를 맞추는 데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됐던 것 같다. 정신 없게 일하고 난 뒤, 베이커리가 오픈하던 당일날부터 엄청나게 많은 고객들이 줄을 서있는 것을 보고 상당히 놀랐다. 우리가 스케쥴에 맞추려 열심히 일하는 동안 관계자들은 SNS로 홍보를 했다고 들었는데, 이를 통해 최근 상업공간 마케팅에서 SNS의 힘을 느끼게 됐다.
 
(서촌 오단테)
 
Q. 디자인에 대한 영감은 어디서 얻는가?
 
A. 남들처럼 여행지라던지 어딘가에서 얻기보다는 선배, 동료, 후배 건축가들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는다. 개인적으로 훌륭한 스승 밑에서 배웠고 일했다 생각한다. 지금은 국민대에 계신 김개천 교수님의 ‘이도건축연구소’에서 일할 때, 교수님의 공간 디자인은 ‘특별한 것이 없어 보이지만 특별함이 담긴 공간’이라 느꼈다. 그 분의 철학이 지금까지도 많은 디자인 영감을 주고 있다. 그 외에도 최근에는 칠레 ‘알레한드로 아라베나 (2016년 프리츠커상)’ 나 스페인 ‘RCR Architects (2017년 프리츠커상)’ 등 프리츠커 수상자들의 인터뷰와 작품들을 보고 많은 감명을 받는다. 윗세대, 동 세대, 후배 건축가나 디자이너들에게서 좋은 영감을 많이 받는 편이다.
 
Q. 그동안의 디자인연구소 마음과 앞으로에 대해

A. 사실 나는 학부 때 조경을 전공하고 대학원에 가서 실내건축설계를 배웠다. 비전공자였기 때문에 늦게 시작한 만큼 열심히 배웠고, 남들보다 덜 자면서 일했다. 사실 훌륭하신 다른 디자이너분들도 많은데 이렇게 불쑥 인터뷰를 하는 것도 조심스럽고 쑥스럽지만, 아마 지난 16년간 열심히 해온 만큼 이 분야에서 많은 분들이 알아주셔서 이런 기회도 찾아온 것이 아닐까 한다. (웃음) 지금 디자인연구소 마음은 5명 정도의 직원들과 일하고 있는데 딱 좋다. 앞으로도 이 정도의 규모로 힘닿는 데까지 열심히 일할 생각이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