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을 상상하는 공상가. 공상플래닛 김경목
 
김경목 대표의 명함에는 공상플래닛에서의 직함인 ‘대표소장’ 외에도 눈에 띄는 타이틀이 있다. 스스로를 ‘공상가’라 표현하는 그는 공간을 디자인하며 사용자가 느끼게 될 분위기와 그것을 위한 공간의 컨셉, 사이트만의 특징이 담긴 공간을 상상한다. 공상플래닛은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과 러프하고 빈티지한 스타일 모두를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기자가 만난 공상가 김경목 역시 담백한 언어 속에 다채롭고 풍부한 디자인 철학을 가지고 있는 디자이너였다. 
 
(루이독 부티크 송도점)
 
(루이독 부티크 송도점)
 
Q. 공상플래닛(GONGSANG PLANET)이라는 사명은 어떤 의미인가?

A. 공상플래닛의 사명에서 ‘공상’은 ‘공간을 상상하다’는 의미고, ‘플래닛(Planet)’은 환경적 관점에서 이야기하면 ‘세상, 우리 주변의 모든 곳’이라는 뜻이다. 공상플래닛은 ‘우리 주변의 모든 공간을 상상한다’는 의미에서 이름을 지었다. 또, 공상 플래닛은 ‘공간을 상상하고 상상을 공유한다’를 모토로 하고 있다. 이는 우리에게 일을 의뢰하는 클라이언트, 의뢰를 받아 작업에 임하는 공상플래닛의 직원들, 그리고 공상플래닛의 업무를 함께하는 협력업체 등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고민하고 공상하며, 그를 공유하는 소통의 의미도 담고 있다.
 
Q. 공상플래닛은 어떤 디자인을 추구하나?

A. 우리는 공간에 어떠한 이야기를 담고 하나의 컨셉을 도출하려 많이 노력한다. 공간을 사용하는 주체자가 어떤 느낌으로 공간을 받아들일지, 공간에서 어떤 분위기를 읽을지, 또 그 공간 안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가는지를 디자이너가 아닌 일반인들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디자인을 지향한다. 흔히 전문가들은 바닥에 어떤 재료를 사용하고 벽을, 천장을 어떻게 마감하는지에 대해 많이 고민 하지만, 일반인들의 시각에서는 그런 하나 하나의 요소를 느끼기보다 모든 것이 어우러져 공간 전체가 자아내는 분위기를 읽는 것이다. 때문에 사용자, 방문자가 바라보는 시각에서 많은 고민을 하며, 공간이 가지게 될 전체적인 분위기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 나와 공상플래닛의 공간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D.une편집매장)
 
(D.une편집매장)
 
Q. 프로젝트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다면?
 
A. 나 같은 경우에는 학부 때 건축을 전공했기 때문에 건축적 베이스가 어느 정도 있다. 때문에 매 프로젝트마다 현장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느낌을 최대한 수용하려 한다. 현장에 따라 노후한 건물이라든지, 좁은 골목이라 접근과 노출이 용이치 않다든지 하는 점은 자칫 단점으로만 보일 수 있지만, 오래된 건물이나 골목 안쪽에 자리한 공간은 오히려 사이트 고유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기에 더 매력적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현장, 주변 환경을 고려해 단점을 장점으로 바꾸고, 장점은 더욱 돋보이도록 하려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SNS의 발달로 대로변 노출이 적은 상공간이라도 입지적 불리함이 어느 정도 상쇄되기도 한다.
 
(포쉬텔apm 스케치)
 
Q. 2018년에는 공상플래닛의 작업도 많아지고 연말에는 코리아 골든스케일 베스트 디자인
어워드(국토부 장관상)를 수상하기도 했다.

 
A. 공상플래닛은 올해로 7살이 됐다. 기존에는 개인 클라이언트 위주의 일을 했던 경우가 많았다면, 16년, 17년도부터 조금씩 기업과의 업무가 연결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많은 도전을 해오다가 작년에는 그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듯 크고 작은 다양한 규모의 작업을 많이 했다. ‘포쉬텔 apm’은 모듈러 형식의 호텔 설계/시공 프로젝트였다. 일반적으로 디자인/설계를 해서 80~90%의 현장 작업을 통해 완성되는 다른 프로젝트와는 달리, 샘플하우스 식으로 만들어진 포쉬텔 apm은 현장 작업의 비율을 10%까지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을 고민했던 작업이었다. 포쉬텔 apm의 방식은 그동안 전공을 하며, 실무를 하며 배워온 공법과는 많이 다른 공법을 적용해야 했기 때문에 공상플래닛도 많은 연구를 해왔고, 지금도 계속 디벨롭하는 중이다. 이 프로젝트로 감사하게도 작년 연말 큰 상을 받았는데, 지난 7년간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해온 것에 대한 결과라 생각하며 직원들과 즐거운 연말을 맞이하게 됐었다. 작년은 개인적으로도, 회사의 대표로서도 한 단계 성숙해질 수 있었던 한 해였던 것 같다.

(포쉬텔apm)
 
Q. 주로 상공간 프로젝트가 눈에 띈다. 상업공간 디자인과 다른 공간 디자인의 차이점, 어려운 점이 있다면?
 
A. 어떻게 하다 보니 상업공간 중에서 식음료/리테일쪽 일을 많이 하게 됐는데, 식음료 리테일쪽은 다른(주거, 사무, 의료) 공간 작업보다 빠르게 변한다. 전에는 (식음료/리테일 공간이) 일차원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거나 음식을 먹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컸다면, 요즘에는 디자인적 마케팅 방식을 많이 적용한다. 게다가 최근에는 상업공간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이 상품뿐만 아니라 공간에 머무는 시간에도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로 인식이 바뀐 것 같다. 이런 변화에 대해서는 공간 디자이너로서 디자인적 책임감을 느끼기도 하고, 그 책임감이 힘들게 느껴질 때도 있다.
 
(모나미스토리연구소 용인)
 
Q. 모나미, 광화문국밥, 몽로, 오리지널 시카고 피자 등. 같은 브랜드의 다른 지점 프로젝트도 연이어 많이 하는 것 같다.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는 어떤지?
 
A. 한번 클라이언트분과 연결되면 꾸준히 관계를 이어가려고 하는 편이다. 가끔 클라이언트분들이 다른 디자이너분들과 바람을 피울 때도 있다. (웃음) 그래도 결국 공상플래닛에게 다시 돌아오는 편이다. 상공간 작업을 하면 설계 과정과 매장의 실제 운영 과정에서 변동되는 요인이 많기 때문에 준공 이후 지인들과의 식사 자리도 클라이언트분의 매장으로 자주 찾아가는 편이다. 그럴 때면 기능적인 부분에서 보완해야 할 사항이라던가, 영업하기 전에는 파악하지 못했던 사항들을 개선/반영할 수도 있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클라이언트와 관계가 잘 유지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유지에 있어서 나의 장점이라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우선 토씨 하나 안 틀리고 들으려 한다는 것이다. 요즘은 ‘녹음을 할까...?’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클라이언트가 부분적으로 요청하는 데 있어서 어떤 부분은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고, 어떤 부분은 불가능한지, 안된다면 왜 안되는지에 대해 충분히 설득할 수 있다. 그리고, 비슷한 사례를 이야기하면 충분히 이해해주신다.
 
(광화문몽로)
 
Q. 앞으로의 계획은?
 
A. 최근 몇 년간의 작업을 통해 식음료와 리테일쪽에 전문성을 더 갖춘 회사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식음료/리테일 하면 공상플래닛’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싶다. 회사 내적으로는 공상플래닛이 직원들과 함께 발전할 수 있는 회사가 됐으면 좋겠다. 사랑하는 부부관계도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오래 못간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직원과 회사가 많은 소통을 하고,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향을 찾으려 노력할 것이다. 많은 부분을 함께 고민하며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그를 통해 회사와 직원들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공상플래닛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리지널시카고피자 이태원점)
 
(오리지널시카고피자 이태원점)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