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이란 어떻게 멈추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 디자이너 나장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홍익대학교에서 건축, 실내설계를 전공했으며, 그 후 약 20여 년간 다양한 상업공간을 설계해왔다. 디초콜릿이앤티에프의 대표를 맡아 엔터테인먼트 및 F&B 경영에도 참여했다. 디초콜릿커피 론칭, 카페베네와 뉴욕 타임스퀘어 카페베네, 뉴욕 브로드웨이 BBQ,, 베이징 798가베등등을 설계했다. 블랙스미스, 마인츠돔베이커리, 하루엔소쿠, MIL'K COFFEE, 토니버거, BBQ 올리브치킨, 카페홉슈크림 등의 디자인 론칭을 통해 F&B 공간 브랜딩에 몰두하고 있다.
 
 
 
Q. 유수의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론칭했는데, 이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싶다.

A. 디초콜릿커피, 카페베네, 블랙스미스 등은 직접 브랜딩하거나 디자인 론칭을 통해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 이들의 기본적 성공 요인은 이용자 우선의 디자인을 추구했다는 것이다. 웰빙과 내추럴을 선호하던 당시의 소비패턴을 선행적으로 해석해 ‘빈티지-인더스트리얼’로 과감히 표현했고, 자연적 느낌의 모르타르 바닥, 거친 고재, 검정 철판 등은 엄청난 재료적 트렌드를 불러와 시골 마을 작은 골목까지도 내추럴 빈티지 컨셉의 열풍이었다. 특히 디초콜릿커피나 카페베네에서는 초콜릿과 아이스크림 와플을 시그니쳐 메뉴로 선보였는데, 이 역시 투박한 스타일의 공간과 웰빙 레시피로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었다. 블랙스미스는 대장장이의 작업 공간이 컨셉이었는데,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이탈리안 레스토랑보단 거칠지만 친근한 블랙스미스의 인더스트 리얼한 공간이 훨씬 신선하다는 반응을 얻었었다. 이런 공간 컨셉은 당시 내추럴하고 빈티지한 것이 더 오가닉하고 건강할 것 같다는 F&B마켓의 트렌드에 맞았던 것이다. 다만 내가 공간적으로 이런 유행을 선도했다기보다는 다가오고 있던 트렌드를 운 좋게 잘 찾은 것 같다. (웃음) 그런데 사실 그런 시장의 욕구를 잘 캐치하는 것도 디자이너의 중요한 소양일 것이다.

Q. 이런 공간의 디자인이나 브랜딩에 대한 영감은 어디서 얻는지?
 
A. 디자이너들은 모두 다양한 소스에서 영감을 얻는다. 나 같은 경우는 독서에서 많은 개념적 모티브를 얻는다. 독서는 가장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가치를 얻어낼 수 있는 아이디어의 창고이다. 책을 읽으며 머리 속에 쌓아둔 것들이 어느 순간 디자인의 영감으로 떠오를 때가 많다. 또 영화를 보다가도 여러 장면의 미장센들이 머리 속에 쌓이는데, 이런 것들도 중요한 디자인 모티브가 되어준다. 디초콜릿커피는 케냐의 커피 농장을 배경으로 한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속, 고독한 나그네인 로버트 레드포드와 그를 항상 따뜻하게 품어주는 메릴 스트립이 남긴 명장면들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래서 디초콜릿커피의 매장에는 영화 속 아프리카의 대자연과 '나그네를 안아주는 포근함'을 담아내고자 했다. 아프리카의 작열하는 태양과 붉은 땅, 빨간 커피 체리와 지친 나그네를 품어주는 편안한 집 같은 공간의 느낌을 찾기 위해 같은 영화를 수도 없이 보기도 했다.
 
        
 
Q. 나장수가 생각하는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A. 디자인이 무엇인가 스스로도 많이 물어봤다. 그런데 디자인은 무엇을 더하고 무엇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멈추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어떤 공간을 디자인할 때 저기에 뭘 더할까 어떻게 눈에 띄게 할까를 많이 고민했다면, 어느 순간부터는 넘치지 않고, 과하게 덧붙이지 않고 최적의 순간에 ‘멈춰주는 것’에 더 집중을 하게 되었다. 어느 식당의 주인이 장사가 안되어 전기세도 못 내는 형편이었는데, 손님도 없이 속절없게 켜져 있는 전구들이 아까워 절반을 껐더니 그날 저녁부터 바로 손님이 쉴 새 없이 들어오기 시작하더란 이야기가 있었다. 단지 조명에 관한 에피소드 일 수도 있겠으나, 이 이야기는 나에게 시사하는 바가 컸다. 과욕으로 넘치거나 덧붙이지 않고 때로는 더 비우거나 없게 해서 사유의 공간이 되게 하는 것. 그런 것이 디자인이 아닐까 생각한다
 
Q. 코시드(KOSID) 부회장, 국민대학교 교수 등, 후배나 제자들도 많은 것으로 안다. 이들이 다음 세대의 디자인을 어떻게 꾸려가야 한다고 생각하나?
 
A. 기능을 먼저 생각하는 디자인을 권하고 싶다. 특히 상업 공간 디자인은 더욱 그렇다. 디자인을 ‘배우는 것’과 디자인을 ‘하는 것’의 구분을 잘 이해해야 한다. 배울 때에는 많은 이론을 접하고 실험적인 도전을 필요로 하지만, 현업에서는 디자이너의 개인 취향이나 일신의 발전을 위해 공간의 기능적 본질을 애써 외면하는 디자인은 지양해야 한다. 공간의 목적에 부합하고 기능적인 부분을 우선하는 디자인이 미적으로도 완성된다는 것을 가급적 빨리 느꼈으면 한다.
 
 
Q. 앞으로의 계획은 어떠한지?

A. 최근 나의 직업적 화두는 생계형 창업이나 소규모 자영업을 향한다. 흔히 오늘날을 ‘600만 자영업 환란의 시대’라고도 말한다. 그들은 매장을 꾸미기 위해 많은 돈을 들이고도 영업 부진으로 대책 없이 문을 닫고 있는데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즉, 공간의 본질을 모르고 있어서 불필요한 인테리어를 하거나 업종과 업태에 맞지 않는 대책 없는 디자인으로 효과를 반감시키고, 오히려 경쟁력을 잃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 경우 차라리 탄탄한 시스템을 갖춘 프랜차이즈의 도움을 받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겠으나, 그러지도 못하는 이들을 위해 ‘공간 디자이너이자 브랜드 디벨로퍼인 나장수가 할 수 있는 일’ 또한 무엇인지 늘 고민하고 있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높이는 디자인 정책을 결정하거나 창업주들이 실질적인 디자인적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실용적 디자인의 전파에 앞장서는 전도적 역할을 하고 싶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